분당서울대병원, 심실 기능 보조장치 ‘임펠라’ 시술 첫 시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11-18 18:02본문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채인호 교수(오른쪽)와 조형원 교수(왼쪽)의 첫 임펠라 시술 모습.jpg](http://www.snnews.co.kr/data/editor/2511/20251118172714_73455ccd1c078666452dcf3c9efa3c68_bfnk.jpg)
- 최소 침습으로 좌심실에 혈액 펌프 모터 삽입하는 시술 -
● 좌심실 내부에서 심장근육 대신 대동맥으로 혈액 보내는 초소형 기계식 순환장치 ‘임펠라’
● 분당서울대병원 심장혈관중재시술팀, 17일 임펠라 첫 례 시행
● 약물, 펌프보다 효과 좋고 에크모보다 부담 적어... 좌심실 기능 효과적으로 보조
분당서울대병원은 순환기내과 채인호 교수가 이끄는 심장혈관중재시술팀이 17일 임펠라(Impella CP) 시술 첫 례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임펠라는 좌심실 내부에서 심장 근육을 대신해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주는 초소형 기계식 순환장치다. 심장성 쇼크의 치료나 고위험 관상동맥시술 과정에서 심장 부담을 줄이고, 좌심실의 혈액 펌프 기능이 크게 떨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보조해 심장이 자가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임펠라는 허벅지 대퇴동맥의 작은 절개창을 통해 관(카테터) 형태로 좌심실에 삽입돼 심장 기능을 보조하다가, 안정 상태에 이르면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날 분당서울대병원의 첫 시술은 순환기내과 채인호·조형원 교수의 집도 하에 고위험 관상동맥 중재시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하게 시행됐으며, 삽입된 임펠라는 약 하루 동안 환자의 심장 기능을 보조하다가 안정을 찾은 후 제거됐다.
그동안 심장성 쇼크에 쓰이던 약물치료나 대동맥 내 펌프는 효과가 제한적이고,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장치)는 심장과 폐 기능 전체를 대신해주는 만큼 출혈·혈전 등 합병증 및 관리 부담이 매우 크다. 반면, 임펠라는 최소한의 침습으로 좌심실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
채인호 교수는 “임펠라는 최소 침습으로 심장에 펌프 모터를 삽입해 심실 기능의 급격한 저하 혹은 정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치료법”이라며 “앞으로도 중증 심장질환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혁신적인 치료법을 적극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임펠라는 미국에서 2008년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심장성 쇼크 치료법이다. 국내에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아 희소의료기기로 지정됐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