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장 길이(18.8m) 서울 문묘 대성전 평고대, 파주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이관 > 해드라인

본문 바로가기
    • 'C
    • 2025.11.15 (토)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드라인

국내 최장 길이(18.8m) 서울 문묘 대성전 평고대, 파주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이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11-14 16:44

본문


국내최장.png

- 재사용 어렵지만 학술적 가치 높아 14일 새벽 이송 완료… 보존처리 후 연구·전시에 활용 예정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이 종로구(구청장 정문헌)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보물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이하 ‘대성전’) 보수공사 과정에서 발견된 국내 최장 길이(18.8m) 평고대(한옥의 처마 곡선을 결정하는 가늘고 긴 부재) 2본이 11월 14일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이사장 김창준) 소속 파주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수장고로 이관됐다. 이들 평고대는 보존처리를 마친 후 연구나 전시에 활용될 것이다.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조선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의 중심이자, 공자의 위패를 봉안한 조선 유교문화의 상징적 건축물


  이번 이관작업은 19m에 달하는 긴 부재가 대성전 수리현장에서 파주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까지 수도권의 좁은 도로를 지나가야 해,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아 충격에 취약하고 상태도 좋지 않은 평고대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20m 규모의 보강틀을 별도로 제작했고, 대형 화물차에 이중 보양 및 고정작업으로 진동과 충격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관계기관의 협조를 통해 새벽 시간대에 저속 운행하여 14일 새벽 2시경 이송을 완료하였다.


  2023년 9월 시작해 현재 목공사를 마친 상태인 대성전은 내년 5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 지붕 해체 과정에서 평고대가 확인된 데 이어, 지난해 7월에는 종도리 하부에서 목수들의 이름 등이 기록된 상량문을 비롯한 다양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들이 발견되어 우리 전통건축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작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가유산청과 종로구는 올해 7월 수리기술지도회의에서 이번 공사를 통해 발견된 총 4본의 평고대 중 상태가 양호한 2본은 대성전에 재설치하고, 나머지 2본은 과학적 정밀조사 결과, 구조 안전상 재사용은 어렵지만 학술적 가치가 높아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수장고로 이관·보존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에 이관된 국내 최장 평고대는 고종시기(1820년~1869년)에 벌목된 소나무류 부재로 확인되었으며, 18.8m의 대형 목재를 단일 부재(평고대)로 사용한 사례는 매우 드물어 선조들의 치목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관된 평고대의 빈자리에는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에 비축된 길이 10m 이상, 직경 45cm 이상의 백두대간 소나무(곡재) 2본이 채워졌다. 

  * 치목: 목재를 가공하여 건축에 필요한 부재로 만드는 작업

 

  국가유산청은 2024년 5월부터 지금까지 1년 반 동안 대성전 평고대를 수리현장에 보관 · 전시하여 ‘국가유산 수리현장 중점공개’ 행사에 참여한 국민들에게 우리 전통건축기술의 탁월함을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해 왔다. 이번 이관 작업에는 평고대 2본 외에도, 재사용이 불가능한 선조시기 때 부재인 추녀 등 보존 가치가 있는 다른 부재들도 함께 이관되었다. 

  * 국가유산 수리현장 중점공개: 국가유산청이 매년 국가유산 수리현장 중 ‘중점공개’ 대상을 선정하여 국민이 수리과정을 직접 살펴볼 수 있도록 공개 운영하는 행사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은 평고대의 안정적 보존을 위한 과학적 보존처리와 함께, 목재를 다듬은 전통기법(치목흔적, 도구자국, 먹선 등)에 대한 학술 연구를 추진하고, 전시·교육자료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우리 전통건축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전시를 통해 2026년 중 국민에게 공개할 계획도 갖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국가유산 수리과정에서 발생한 해체 부재의 보존과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적극행정을 통하여 전통건축기술 계승에 힘쓸 것이다.





12

1

0

7

12

6

1

4

5

6

2

9
11-15 01:53 (토)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