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 해드라인

본문 바로가기
    • 구름 많음
    • -1.0'C
    • 2024.12.24 (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드라인

「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4-08-28 16:00

본문


「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png

- 항일운동 이끈 의병장 면암 최익현의 단령, 사모 등 총 5건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항일의병운동을 이끈 의병장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7)의 의복인 단령(團領)과 머리에 썼던 사모(紗帽), 허리띠인 삽금대(鈒金帶), 목화(木靴), 호패(號牌) 등 총 5건의 유물을 국가민속문화유산 「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로 지정하였다.

  * 단령: 관직에 있는 사람이 공복(公服)으로 입었던 옷으로, 둥근 깃이 하나의 특징임.

  * 사모: 관복 착용 시 머리에 썼던 관모로, 2개의 뿔[角]이 좌우에 달린 것이 특징임. 

  * 삽금대: 관복 착용 시 허리에 두르던 띠의 한 종류로, 무늬를 새긴 판(띠돈)을 띠의 둘레에 붙여 장식함.

  * 목화: 관복을 착용할 때 신던 목이 긴 형태의 신.

  * 호패: 조선시대 16세 이상 남자에게 발급한 패로서 오늘날의 주민등록증과 같음.


  이번에 지정된 5건의 관복 일괄은 19세기 후반기 복식 연구뿐 아니라 공예 기술과 재료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 단령은 최익현이 당하관(堂下官)이던 시기(1855~1870)에 착용한 것으로, 조선 후기 전형적인 당하관용 단령(團領)의 형태와 제작 양식을 지니고 있다. ▲ 사모는 양쪽 뿔에 얇고 성근 평직 원단이 겹으로 씌워져 어른거리는 무늬가 생기는 것이 특징인 당상관(堂上官)용 관모로서, 최익현이 당상관의 관직을 받은 1870년 이후의 것이다. 대나무와 한지로 모자 틀을 만들고 양쪽 뿔의 테두리에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사용한 점 등 조선시대 사모 제작 기술과 기본 재료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 삽금대는 개항기 조선에 소개된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cellulose nitrate)로 추정되는 신소재로 제작한 모조(模造, 본떠서 만든) 대모(玳瑁) 재질의 띠돈을 부착하여 제작한 것으로, 19세기 말 공예 기술의 변화 양상을 대변하는 유물이다. ▲ 목화는 신의 밑창이 앞코까지 올라오는 형태에서 평평한 형태로 변화하는 과도기에 해당하는 1870~1880년대의 유물로서 이 시기 목화 제작 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 ▲ 호패는 제작 연대(을묘(乙卯), 1855년)와 최익현의 이름(崔益鉉)이 새겨져 있어 착용자와 제작 시기를 분명하게 밝혀주고 있다.

  * 당하관: 문신은 정3품 통훈대부, 무신은 정3품 어모장군 이하의 품계를 가진 자

  * 당상관: 문신은 정3품 통정대부, 무신은 정3품 절충장군 이상의 품계를 가진 자 

  *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19세기 이후 발명된 합성재료로 플라스틱의 전신

  * 대모: 바다거북의 일종으로 등껍질에 붉은 점과 얼룩무늬가 있어 고급 장식 재료로 사용됨.

  * 띠돈: 관복용 허리띠 둘레에 붙인 원형 또는 사각형 장식판으로 옥, 뿔, 대모 등으로 제작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에 대해 소유자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과 적극행정의 자세로 협조해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에 힘쓸 계획이다.






2

-2

-5

1

3

-1

-4

-3

0

0

-3

4
12-24 22:38 (화)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