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부여 왕릉원」 경관 복원 논의 > 해드라인

본문 바로가기
    • 'C
    • 2025.10.30 (목)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드라인

세계유산 「부여 왕릉원」 경관 복원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10-28 16:01

본문


부여왕릉원.png

- 「부여 왕릉원의 경관복원안과 향후과제」 국제학술대회(10.29. 국립부여박물관)… 주민공청회 통한 의견 수렴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신영호)과 함께 10월 29일 오전 9시 40분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충남 부여군)에서 「부여 왕릉원의 경관 복원안과 향후과제」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백제역사유적지구)으로 등재된 지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부여 왕릉원」은 백제 사비도읍기 왕실 매장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며, 사비도성의 동쪽 외곽에 위치해 경관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곳이다. 하지만 도굴과 일제강점기의 빈약한 조사, 1960~70년대의 과도한 복원으로 봉분의 형태를 비롯한 전체 경관이 원 모습과 크게 달라진 상태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부여 왕릉원의 경관 복원과 관련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한·중·일 능원의 조사·연구 사례 비교를 통해 향후 부여 왕릉원의 당대 경관을 올바르게 복원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부여 왕릉원의 ‘구조’와 ‘경관’을 주제로 1·2부로 나누어, 총 6개의 발표와 전문가들의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 ‘부여 왕릉원 3·4호분 조사성과와 과제’(오동선, 순천대학교), ▲ ‘중국 남조 및 수·당 능묘 유적의 구성과 경관’(우꾸이빙, 중국 남경대학), ▲ ‘일본 아스카시대 왕릉(능묘)의 정비 및 보존·활용에 관한 고찰’(사이코신지, 일본 나라현 아스카무라교육위원회)의 발표로 동아시아 능원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를 비교해보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2부에서는 ▲ ‘부여 왕릉원 현실 석재의 재질과 원산지 및 구조안정성 해석’(이찬희, 공주대학교), ▲ ‘부여 왕릉원의 구지형 기반 경관복원’(이승기, 테라픽스), ▲ ‘백제 왕릉의 경관변화양상과 부여 왕릉원의 정비복원방향’(성정용, 충북대학교)의 발표를 통해 능원의 올바른 경관 복원안에 대해 보존과학·지리학 등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이현숙(공주대학교박물관), 조윤재(고려대학교), 우재병(충남대학교), 김사덕(명지대학교), 강동석(동국대학교), 이성준(충남대학교) 등 전문가들과 발표자들이 모여 논의하는 종합토론과 함께 다양한 정책 이해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는 주민공청회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당일 현장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www.youtube.com/@nrichstory)를 통해 실시간 중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041-830-5611)로 문의하면 된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부여 왕릉원의 역사적 가치 규명과 진정성 있는 문화유산 복원을 위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나아가 조사·연구 성과를 국민들과 함께 공유하여, 문화유산 보존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이다.





15

6

4

10

13

8

7

5

7

8

4

16
10-30 00:52 (목)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