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기원, 농산물 생산 및 수요 매칭 분석결과 발표 … 생산체계 개선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1-09-22 12:53본문
- 학교급식 미스매칭 품목 해결 위한 품목별 생산집중지역 내용 담겨
- 경기도 먹거리위원회 등 먹거리전략 의사결정 활용
경기도 내 학교 급식에서 당근과 감자, 무, 양파 등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경기지역 생산수준은 낮아 먹거리 자급을 위해서는 생산체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도 농기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경영체등록정보 10만 건과 경기도 학교급식정보 35만 건을 가공해 법정리별 생산수준을 각각 1~3등급으로 구분한 지도를 만들고 품목별로 어떤 지역에서 생산 집중이 일어나는지 분석했다.
이는 도민 먹거리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첫 단추로 학교급식 부족 품목에 대한 생산지역 파악을 통해 ‘먹거리 보장’이라는 경기도 먹거리 전략의 정책실현을 해 나가기 위한 조치다.
분석 결과 전체 607개 작목 중 생산과 수요가 가장 안정적인 품목은 ‘벼’로, 생산과 수요 모두 상위 10%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벼는 전체 재배면적의 절반(50.8%)에 이르는 6만9,905ha에서 재배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콩 7,702ha(5.6%) ▲들깨 6,220ha(4.5%) ▲건고추 4,956ha(3.6%) ▲고구마 3,161ha(2.3%) 등의 순이었다. 총 607개 작목 중 상위 10개 작목이 전체 재배면적의 73.7%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학교급식에서 취급하는 전체 206개 품목(2만1,975톤) 중 관내 농산물 소비량은 전체 물량의 71.3%, 관외 농산물 소비량은 28.7%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관외 취급비율이 높은 당근, 감자, 무, 양배추, 양파, 마늘, 대파, 사과, 포도, 멜론 등 10개 재배품목이 학교급식 취급량의 29.6%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각 품목은 높은 급식수요를 생산이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생산을 늘리거나 유통경로를 변경해 생산지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
도는 이번에 제작된 농산물 생산지도를 경기도먹거리위원회와 도의회, 농정부서 등을 통해 널리 알림으로써 생산체계를 개선하는 데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 농산물 생산지도를 통해 도출된 학교급식 부족품목을 바탕으로 먹거리 다양성 증진 방안을 면밀히 검토해 경기도 농산물 생산체계 개선에 접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지역 곳곳의 농산물 생산지역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경기도 농산물 생산지도’는 경기부동산포털(gris.gg.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오은애기자>